![](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vNXAI/btsAuKWyFAX/owURw6EzBDFTL0cNtjYHqk/img.png)
연극의 특성, 연극 연습하기 지도(초등교사&문학영재강사)에 관한 내용입니다. 5-6학년 국어 교육과정에 새롭게 들어와 있는 단원이 바로 연극입니다. 연극 수업을 할 때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다가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실 이 영상은 2021년에 제작을 했으며 공개는 2023년에 비로소 하게 되었습니다. https://youtu.be/eCmzBWIZ5q4?si=XhoPrTqZQLMg6Qqw 즐거운 마음으로 연극에 대해 공부를 해 봅시다. 연극, 이렇게 해봐요. 글쓰기 동영상 자료를 제작하다가 20차시로 연극 단원을 제작해봅니다. 연극에 대해 알아봅시다. 활동 1. 연극의 특성 활동 2. 연극 연습하기 - 짝을 지어 서로 마주 선 다음, 한 명은 거울이 되고, 다른 한 명은 거울을 보는 사람이 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R84Y/btsq2j1Qq9C/Pk5rWAzhVSmBJc3K4kOpgK/img.png)
초등교사가 알려주는 기행문 특징과 기행문 쓰는 방법입니다. 기행문을 이해하고 기행문 쓰는 법을 알아봅시다. 초등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https://youtu.be/tqIy1Q7NqEQ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열정박샘과 함께 하는 슬기로운 쓰기 생활 기행문편입니다.기행문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활동 1. 기행문이란? 활동 2. 기행문의 특징 활동 3. 기행문을 쓰는 방법- 제주도로 여행 가기 전에 제주도 관련 책을 읽었어요. - 가족 여행을 다녀와서 누리집 등에서 여행 후기를 읽어 보았습니다. * 역사서에서 '왕오천축국전' 같은 여행 기록도 있어요.- 가족 여행을 다녀오고 일기로 여행간 경험을 썼습니다. - 방학 때 강원도를 다녀와서 친구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 경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V51pP/btsoEqhJOyz/vivuhhk7oe0dwTQAjlsqz0/img.png)
초등교사&문학영재강사가 알려주는 생활문 잘 쓰는 방법과 생활문 예시입니다. https://youtu.be/8bJHDpj4d94 생활문 예시는 초등학교 딸아이가 천강문학상 청소년 부문에서 입상을 한 작품입니다. 생활문 쓰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생활문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활동1. 생활문이란? 활동2. 생활문을 쓰는 과정 알기 활동3. 생활문 예시글 살펴보기 생활문 알기 생활문은 경험을 적는 글로 생활 속에서 겪은 일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을 쓴 글입니다. 하루 동안 있었던, 혹은 다른 생활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을 떠올려 보세요. 생활문과 일기의 차이점 - 일기는 하루의 일을 찾습니다. - 하루의 일에서 글감을 찾아보아요. - 생활문은 시간의 제한이 없습니다. - 다양한 날에서 글감을 찾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n9TY/btsl2cFVr3U/gF17VXufIOn0tcKZp04GI0/img.png)
문학영재강사가 알려주는 유아, 초등학생을 위한 그림일기 쓰는 방법 동영상입니다. https://youtu.be/MhFfF7c8pZI 초등교사가 알려주는 그림일기 쓰는 방법입니다. 그림일기, 어렵지 않아요 열정박샘과 함께하는 슬기로운 쓰기 생활로 그림일기 편입니다. [오늘의 공부할 문제] 그림일기를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학습활동 안내] 활동1. 하루 동안 일어난 일 말하기 활동2. 그림일기 구성요소 알기 활동3. 그림일기를 쓰면 좋은 점 알기 [하루 동안 있었던 일 말하기] - 아침에 비가 왔다. - 학교 가는 길에 선생님을 만났다. - 수업 시간에 발표를 했다. - 점심 시간에 맛있는 반찬을 먹었다. - 집에 올 때 비가 그쳤다. - 집에서 숙제를 했다. [자신의 하루 일과 떠올리기] 날마다 하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R3D4N/btsiBJ0DyAx/SvG2Bn5eb83PcYBBj5yFo0/img.png)
초등교사가 알려주는 관용표현(관용어, 속담)입니다. https://youtu.be/6sQwWQDjdZ8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초등교사&문학영재강사인 열정박샘과 함께하는 슬기로운 쓰기생활로 관용 표현을 알고 글을 써보겠습니다. 연관 단원: 6학년 1학기 5. 속담을 활용해요 관용 표현을 활용하여 표현해 봅시다. 1. 관용 표현 뜻 알기 2. 관용 표현을 활용하면 좋은 점 알기 3. 관용어와 속담 알기 4. 표현의 뜻 추론하기 5. 관용 표현 사용하기 6. 관용 표현을 사용하여 짧은 글 쓰기 1. 관용 표현은? - 둘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그 낱말의 원래 뜻과는 다른 새로운 뜻으로 굳어져 사용되는 표현 2. 관용 표현의 종류 - 속담, 관용어 등이 있습니다. 3. 관용표현의 보기 - 발 없는 말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WB1e/btrOeRUKEmU/4PrENNyZd4DtTiPbZgfWp0/img.png)
소개하는 글쓰기, 소개하는 글쓰기 방법입니다. '2학년 2학기 6. 자세하게 소개해요' 에도 도움이 되는 교육자료입니다. https://youtu.be/YpyYT4v4utA [소개하는 글 어떻게 쓸까요?] - 소개하는 글 알고 소개글 써보기 [오늘의 공부할 문제] - 소개하는 글을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학습활동 안내] - 활동 1. 소개하는 글이란? - 활동 2. 소개하는 내용 파악하기 - 활동 3. 소개하는 글을 쓰는 방법 [소개하고 싶은 사람 떠올리기] - 소개하는 글의 처음은 가까운 주변 사람 가운데에서 자신이 잘 아는 사람을 떠올립니다. - 친구, 부모님, 선생님, 가족, 주변 이웃이 떠올려집니다. [소개하는 글이란?] 소개하는 글이란 자신이나 다른 사람, 물건에 대한 정보를 남에게 알려주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kKxgA/btrM1c6BLtf/xIFjONjJq9PigHDN0eaukk/img.png)
초등교사가 알려주는 시의 행과 연, 시의 운율, 시쓰기 지도방법, 시 쓰는 방법입니다. 열정쌤즈 유튜브 영상으로 본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QgvB1XAgYBE 시쓰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시를 알고 시쓰기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시를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 활동1. 시의 행과 연 - 활동2. 시의 운율 - 활동3. 시를 쓰는 방법 - 시에는 연과 행이 있습니다. - 보통의 글에는 문장, 문단이 있습니다. *시의 연과 행은 보통의 글과 다르게 구별해 줍니다. - 행: 하나의 줄, 행이 모여서 연이 됩니다. - 연: 연은 하나의 의미를 형성하며 연이 모여 한 편의 시를 이룹니다. - 나타내는 장면을 바꾸기 위해서 - 시의 내용을 뜻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a0JW/btrKysruA8O/d20RnwwjYmJstiYLlckw10/img.jpg)
토박이말(순우리말)을 사용하여 짧은 글을 써 봐요. [오늘의 공부할 문제] - 토박이말을 넣어 짧은 글을 써 봅시다. [학습활동 안내] 활동 1. 토박이말의 뜻 활동 2. 우정을 나타내는 토박이말 활동 3. 토박이말을 넣어 짧은 글 쓰기 [토박이말] 한 언어에서 옛날부터 써 오던 말로 한자어와 외래어를 제외한 우리나라 고유어로 순우리말, 탯말로 불리어집니다. [토박이말을 사용하면 좋은 점] 1. 토박이말을 사용하면 친근한 느낌이 듭니다. - 순우리말은 구수한 정감이 들고 친근한 느낌을 전해줍니다. 2.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여 생각이나 느낌을 마음껏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언어들에 비해 정말 많은 방법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노란색을 노릇노릇, 개나리색, 노르스름, 짓노랑 등 다양한 표현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J3IV/btrJB4eEVI7/gAJOkpxXashVQ0ZlGtIKl0/img.png)
https://youtu.be/uWbhzE6u_QY 독후감 잘 쓰는 방법, 초등학생 독후감 예시 작품(환경독후감)입니다. 독후감 쓰는 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만들었습니다. 교육자료가 다른 모든이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미리캔버스를 활용하여 PPT로 동영상 녹화를 하였습니다. [오늘의 공부할 문제] - 독후감을 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학습활동 안내] 활동 1. 독후감이란 활동 2. 독후감을 구성하는 내용 파악하기 활동 3. 독후감 쓰기의 과정 [재미있게 읽은 책에 대해 설명하는 방법] - 책 내용과 관련한 설명과 인상 깊은 장면을 설명하고 읽고 나서 들었던 생각이나 느낌을 함께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서감상문이란] - 독서 후에 자신이 몰랐던 사실에 대해 느끼는 생각이나 내용에 대한 감상 등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2U0h/btry9n9bInv/tws8HeiQkMz5S6sbBEqMP0/img.png)
문장부호(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큰따옴표, 작은따옴표)의 쓰임과 문장부호 바르게 쓰기 그림 및 동영상 자료입니다. - 문장 부호의 쓰임을 알고 문장을 바르게 써 봅시다. 1. 문장 부호 찾기 2. 문장 부호 이름 알기 3. 문장 부호 쓰임 알기 4. 문장 부호 쓰는 방법 알기 5. 문장 부호 바르게 쓰기 6. 문장 부호에 맞게 띄어 읽기 문장부호는 문장의 뜻을 이해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 ! ? 문장의 마지막에 쓰였습니다. , 부르는 말 다음에 쓰였습니다. , 쉼표 쉼표는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씁니다. . 마침표 마침표는 문장의 끝에서 쓰며 문장이 끝난 것을 뜻합니다. ? 물음표 묻는 문장의 끝에서 묻거나 확인할 때 씁니다. ! 느낌표 느낌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사용됩니다.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hC42/btrwZZDBPiF/V1YJ7Rc3PwFfZDm9ic0AHk/img.png)
초등교사가 만든 국어자료로 흉내 내는 말을 넣어 짧은 글 쓰기입니다. - 활동1: 흉내 내는 말 찾기 - 활동2: 흉내 내는 말의 좋은 점 - 활동3: 흉내 내는 말을 넣어 짧은 글 쓰기 흉내 내는 말이란? '멍멍', '주렁주렁'과 같이 소리나 모양을 표현한 말을 흉내 내는 말이라고 해요. ‘주렁주렁’은 어떤 물건이 탐스럽게 많이 매달려 있는 모양을 나타낸 말입니다. '반짝반짝'은 작은 빛이 잠깐 잇따라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해바라기가 싹을 틔우고, 싹이 비를 맞고, 햇볕을 받아 점점 자라서 꽃을 피우는 그림입니다. '쏙쏙’은 싹이 땅을 뚫고 나온 모양을 흉내 낸 말입니다. ‘주룩주룩’은 비가 내리는 소리를 흉내 낸 말입니다. ‘쨍쨍’은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모양을 흉내 낸 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elww/btrtoz0Kv5m/ZB6WuEQz6ReZwYtdCvebV0/img.png)
글쓰기가 무엇인지 함께 공부해보도록 합시다. 글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글쓰기의 중요성 2. 글을 쓸 때의 태도 3. 글쓰기의 과정 1. 글쓰기의 중요성 글쓰기는 살아남고 이겨내고 행복해하는 일이다. -스티븐 킹, 유혹하는 글쓰기- 한 교수가 MIT 공대를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작문 교육을 많이 시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여기에 재직하는 교수는 MIT 학생들이 졸업하면 사회의 중추적인 리더로 성장할 것이며 리더의 가장 중요한 임무의 하나가 글쓰기가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뜻밖의 질문에 오히려 더 깜짝 놀라워했다고 한다. 2. 우리는 언제 글을 쓸까요? -수행평가, 논술, 소개서, 보고서, 논문, 이력서, 소개서, 기획서, 보고서, SNS * 우리는 오늘도 수많은 글을 읽고 씁니다. 3. 글쓰..